강정보에서 펼쳐지는 ‘난장난장난장’ 현대 예술 축제
대구 달성군 강정보가 올가을, 예술의 거대한 실험장이 됩니다. ‘2025 달성 대구현대미술제’는 현대 예술의 실험성과 지역의 삶을 결합한 대규모 야외 전시로, 올해 주제는 ‘난장난장난장 (Clash, Crash, Create)’입니다. 기존의 질서와 형식을 뒤흔드는 이번 미술제는 시민들이 자유롭게 참여하고 체험할 수 있는 열린 예술축제입니다.
📑목차
1. 2025 달성 현대 미술제 개요
‘2025 달성 대구현대미술제(Dalseong Daegu Contemporary Art Festival)’는 대구·경북 지역에서 가장 큰 규모의 현대미술 행사로, 올해로 14회째를 맞았습니다. 이번 미술제는 달성문화재단과 달성군청이 공동 주최하며, 예술감독 강효연을 중심으로 약 30여 명의 국내외 작가들이 참여합니다.
- 기간: 2025년 9월 13일(토) ~ 10월 12일(일)
- 장소: 대구 달성군 강정보 디아크 광장 일원
- 주최: 달성문화재단 · 달성군청
- 관람료: 전 구간 무료
2. 올해 주제 ‘난장난장난장’의 의미
이번 미술제의 주제인 ‘난장난장난장(Clash, Crash, Create)’은 기존 질서를 깨고 새로움을 창조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예술이 사회적 혼란, 충돌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을 표현한 것입니다.
감독 강효연은 “이번 미술제는 예술이 혼돈을 품고 스스로를 갱신하는 장이 될 것”이라며, 전시를 ‘혼돈 속의 조화, 파괴 속의 창조’로 정의했습니다.
3. 전시 기간과 장소, 입장 정보
- 📍 장소: 대구 달성군 다사읍 강정보 디아크 광장
- 🕒 기간: 2025.09.13 ~ 2025.10.12 (약 1개월)
- 💰 입장료: 무료 (일부 체험 프로그램 사전예약제)
- 🚗 주차: 강정보 공영주차장 무료 이용 가능
특히 야간 조명 전시와 디지털 미디어 파사드가 진행되어 낮과 밤, 다른 분위기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4. 주요 참여 작가 및 전시 섹션
올해는 설치미술, 사운드아트, 미디어아트를 아우르는 다채로운 작품이 전시됩니다.
- ⚙️ 설치미술 섹션: 강형주, 이정주, 박지선 작가 – 강변 공간을 활용한 대형 구조물
- 💡 미디어아트 섹션: 신명준, 김수아 – 빛과 영상으로 구성된 디지털 조형
- 🌿 자연 예술 섹션: 낙동강 수변 생태와 예술의 공존을 주제로 한 환경 설치작품
5. 강정보 미술제의 볼거리와 포토존
강정보의 디아크 건축물과 어우러진 전시 공간은 이번 미술제의 가장 큰 매력입니다. 낮에는 탁 트인 자연광 속 설치예술을, 밤에는 조명과 영상이 결합된 빛의 전시를 즐길 수 있습니다.
- 📸 포토존 추천: 디아크 전망대 앞 ‘Clash Wall’, 강변길 ‘빛의 조형물 라인’
- 🎶 주말 이벤트: 버스킹, 라이브 퍼포먼스, 관객참여형 설치작
6. 체험 프로그램 및 시민 참여 행사
매주 주말에는 시민 참여형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됩니다.
- 🎨 어린이 예술워크숍 ‘작은 작가 되기’
- 🖌️ 시민 참여 벽화 프로젝트
- 📷 미디어아트 촬영 체험 (사전예약 필수)
7. 대구 달성 현대 미술제가 특별한 이유
달성현대미술제는 1974년 시작된 대구현대미술제의 정신을 계승합니다. 단순한 예술 전시가 아닌, 지역 예술 생태계와 시민의 교감을 목표로 하는 공공형 미술제입니다. 예술이 지역사회 속으로 스며드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8. 방문 전 알아두면 좋은 팁
- ✔️ 전시 대부분은 야외이므로, 우천 시 우비 또는 양산 준비
- ✔️ 디아크 전망대는 미술제 관람객에게 무료 개방
- ✔️ 주차장이 혼잡하므로 주말엔 대중교통 (다사역 2번 출구 셔틀버스) 이용 권장
전시를 천천히 둘러보며 예술과 자연을 함께 느껴보세요. 2025년 가을, 대구 강정보는 그 자체로 하나의 예술 공간이 됩니다.
이상으로 대구 달성 현대 미술제에 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Info &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콤 사업자인증서 발급 방법 총정리|서류부터 온라인 신청까지 (0) | 2025.09.28 |
---|---|
인터넷 등기소 서비스 불가! 부동산 계약 차질 시 어떻게 대응할까? (0) | 2025.09.27 |
국정자원 화재로 못 쓰는 서비스는? (등본 발급·택배·금융·재난 시스템) (0) | 2025.09.27 |
2025 추석 택배 일정 안내 (CJ대한통운·우체국·쿠팡 배송) (0) | 2025.09.27 |
2025 대구 떡볶이 페스티벌 관련 내용 총정리 (0) | 2025.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