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o & Issue

2025 탐라문화제 완전 정리 (기간·장소·프로그램·주제)

반응형

 

2025 탐라문화제|제주 가을을 물들이는 전통과 예술의 향연

 

 2025년 10월, 제주는 다시 한 번 예술과 전통의 숨결로 물듭니다. 제64회 탐라문화제는 ‘신들의 벗, 해민의 빛’이라는 주제로 제주시 원도심 일원에서 개최됩니다. 제주의 역사와 민속, 현대 예술이 어우러지는 이번 축제는 섬의 정체성과 시민의 자긍심을 함께 느낄 수 있는 대한민국 대표 전통문화 축제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제 64회를 맞이한 2025 탐라문화제에 대한 정보를 살펴보겠습니다.

 

탐라문화제


📑목차


1. 2025 탐라문화제 개요

 탐라문화제는 제주의 뿌리와 예술정신을 계승하는 대표 축제로, 개천예술제, 백제문화제와 함께 대한민국 3대 문화축제로 꼽힙니다. 1962년 시작된 이래 올해로 64회를 맞으며, 제주문화예술인과 시민이 함께 만드는 ‘참여형 문화축제’로 발전했습니다.

  • 📅 일정: 2025년 10월 10일(금) ~ 10월 14일(화)
  • 📍 장소: 제주시 원도심 일원 (탐라문화광장, 산지천, 해변공연장 등)
  • 🎨 주최: 제주특별자치도 / (사)한국예총 제주연합회
  • 💰 입장료: 무료

 

 

2. 축제 일정 및 장소 안내

날짜 주요 행사 장소
10월 8일(수) 사전행사 ‘탐라를 탐하다’ 서귀포 칠십리야외공연장
10월 10일(금) 개막식 ‘신들의 벗, 해민의 빛’ 탑동 해변공연장
10월 11~13일 탐라난장, 무형유산 축전, 시민참여 프로그램 탐라문화광장·산짓물공원
10월 14일(화) 폐막 시상식 및 퍼레이드 제주시 해변공연장

 

 

3. 개막식·폐막식 및 주요 프로그램

 올해 개막식은 탐라의 신화와 제주의 빛을 테마로 한 예술공연으로 진행됩니다. 무형문화재 공연, 미디어 파사드 쇼, 시민합창단이 함께 어우러져 ‘빛의 섬 제주’를 상징적으로 표현합니다.

  • 🎆 개막식: 10월 10일(금) 오후 7시, 탑동 해변공연장
  • 🎭 탐라퍼레이드: 탐라문화광장에서 시민단체, 학교, 예술인들이 참여
  • 🏆 폐막식: 10월 14일(화) 오후 6시, 해변공연장 (시상식 포함)

 

 

4. 탐라문화제 3대 마당 프로그램

4-1. 뿌리마당 (기원문화)

 제주의 신화와 전통 제례문화를 재현하는 공간으로, ‘탐라개벽신위제’와 사전행사 ‘탐라를 탐하다’가 열립니다.

 

4-2. 놀이마당 (생활문화)

 제주 도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생활예술의 장입니다. 민요, 탈춤, 농악 등 전통 공연뿐 아니라 시민 버스킹, 거리 퍼포먼스가 진행됩니다.

 

4-3. 탐라난장 (창조문화)

 현대 예술과 지역 청년 문화가 결합된 프로그램으로, K-POP 랜덤플레이댄스, DJ 라운지, 푸드트럭 마켓이 운영됩니다.

 

 

5. 전통과 현대의 공존, 탐라문화제의 변화 포인트

 2025년 탐라문화제는 전통 중심의 구성에서 벗어나 ‘젊은 감성’과 ‘참여형 프로그램’을 강화했습니다. 무형유산 축전, 예술인 플리마켓, 청년예술전 등 세대 간 교류를 통해 탐라의 정체성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6. 체험 및 가족 프로그램

  • 👨‍👩‍👧 전통놀이 체험존 (팽이치기, 윷놀이, 한복입기)
  • 🎨 제주 공예체험 (옹기 만들기, 감귤비누 만들기)
  • 🍲 향토음식 부스 (돔베고기, 오메기떡, 흑돼지꼬치 등)

 

 

7. 탐라문화제 방문 꿀팁

  • 🚗 주차: 탐라문화광장 공영주차장, 산지천 일대 임시주차장 운영
  • 🚌 대중교통: 제주시청 앞 하차 후 도보 10분
  • 📸 포토존: 산짓물공원 조형등 ‘탐라의 별빛길’
  • 🕒 추천 방문 시간: 해질녘~야간 (조명과 공연이 함께 어우러짐)

 

 

8. 정리: 탐라문화제가 사랑받는 이유

 탐라문화제는 제주의 역사와 문화, 예술이 함께 어우러지는 ‘제주의 혼’ 그 자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도민이 직접 참여하고 세대가 함께 즐기는 문화축제이기에, 해마다 더 많은 이들이 찾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2025년 가을, 제주의 전통과 현대가 만나는 현장을 직접 경험해보세요. 탐라의 빛이 여러분의 일상에도 따뜻하게 스며들 것입니다.

 이상으로 이번 글을 마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