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형 집은 앞의 두 가지 형과는 전혀 달라서 6칸이라고 하기에는 약간 곤란한 집이며, 실제로 제주도에서도 이 집은 3칸집이라고 불린다. 집의 규모는 다른 집과 다를 바 없으나, 앞서 설명한 집들은 구조가 3평주(柱) 3량(樑)이고 평면이 결합방식으로 처리된 데 비해, 후자는 2고주(高柱) 7량(樑)으로 법식화되어 있으며, 평면도 분할식으로 되어 있다. 그렇다고 구조기법이 전혀 다른 것은 아니고, 모두 같은 맥락에서 발전한 것이다. 앞서 언급한 집들은 시대가 지나면서 간편한 방법을 사용하게 된 것이고, 후자는 지역적 특성 때문에 오히려 이 점이 더욱 잘 유지되어, 평면의 형태에서도 독특한 발전을 거듭했으리라 추측된다. 따라서 이 집이 안동형보다 옛방식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형의 평면 구성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