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8 2

한국의 전통&민속 배

① 배의 역사 배는 한자로는 배 선(船), 큰 배 박(舶), 작은 배 정(艇) 등으로 나타내는데, '선'과 '박'은 큰 배[ship]를, '주'와 '정'은 작은 배[boat]를 뜻하며, 영어에서는 이들을 모두 포함하는 ‘배’라는 총칭어로 'vessel'이라 한다. 태고 시대의 원시인들은 들과 산을 헤매다가 강이나 호수, 바다와 마주쳤을 때, 이를 어떻게 건널 것인가를 두고 깊이 고민했을 것이다. 밑바닥을 걸어 건널 것인가, 헤엄쳐 갈 것인가, 아니면 수십 리, 수백 리를 돌아갈 것인가 하고. 그렇게 해서 물에 잘 뜨는 통나무를 사용했을 것이며, 통나무보다 안정적인 뗏목을, 뗏목보다 빠르고 잘 뜨는 통나무배[통나무의 속을 파낸 것]를, 통나무배보다는 물건을 더 많이 실을 수 있고 안전한 구조의 나무배로 ..

한국 전통 미역 양식

미역 [Undaria pinnatifida(Harvey) Suringar]은 김, 다시마와 함께 예로부터 우리 민족이 즐겨 먹어 온 해조류로서, 옛 문헌에는 ‘관’, ‘감관(단맛이 나는 관)’, ‘해대(바다 띠)’ 등으로 적혀 있다. 미역은 한국과 일본에만 나는 특산물로, 제주도를 비롯해 우리나라 전 해안의 암초 지역에 분포한다(단, 서해안은 황해도 이남 지역에 한정된다). 1958년경부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투석식(돌을 이용한) 양식이 활발히 이루어지다가, 1967년경부터는 인공적으로 포자를 붙이는 방식의 탱크 내 육묘(어린 미역을 기르는 일)가 기업화되면서, 미역의 수하식 양식(줄에 매달아 바다에 띄우는 방식)이 크게 확산되기 시작하였다.ㄱ. 종류와 생태 미역은 갈조류에 속하는 해조류로,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