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7 2

한국 전통 김 양식

우리 민족이 김을 이용한 역사는 오래된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고전에는 김을 '자채(자색 해초), 해의(바다의 옷), 해태(바다의 기름)' 등으로 기록하고 있는데, 성종 12년(1481)에 편찬되어 중종 25년(1530)에 정정 증보한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토산조에는 39곳의 해태 산지가 기록되어 있고, 부분적으로는 이보다 이전의 지리서인 『경상도 지리지』(1424~25), 『세종실록지리지』(1454) 등의 토산공물조에 '해의(바다의 옷)'라는 이름이 나온다. 위의 기록은 김을 말한 것인지, 김 제품을 말한 것인지는 확실치 않지만, 이미 500년 전부터 김을 식용으로 이용해 왔다는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오늘날 우리보다 김 양식이 앞선 일본인들도 섶을 이용한 양식법은 80년, 수평식 발을 이용한 양식법은..

한국 민속 어류 양식

① 잉어 양식 잉어[Cyprinus Carpio L.]는 오래전부터 인류와 밀접하게 관계를 맺어 온 물고기로, 양식의 역사도 길다. 독일, 오스트리아 등지에서 양식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동양에서는 중국을 비롯해 일본, 인도네시아, 태국, 미얀마, 인도 등 주로 열대 지역에서 양식되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는 기원전 500년경에 도주공(陶朱公)이 『양어경(養魚經)』이라는 책을 저술하여 잉어의 양식법을 논했으며, 이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양어 관련 서적이라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세기 초에 잉어를 기른 기록이 남아 있다. 이 기록을 통해 성 안에 못을 파고 잉어를 기른 사실을 알 수 있으며, 기르는 목적과 방법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우리나라에서 물고기를 기른 첫 번째 기록으로 간주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