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 일자(一字) ㄷ자형
이 집은 일자(一字) 모양의 안채와 행랑채 및 헛간채가 마당을 중심으로 ㄷ자 형태로 배치된 집이다. 일자 ㄷ자형 ㄱ자채집은 안채와 행랑채가 ㄱ자 모양으로 배치되고 헛간채는 안채 맞은편에 놓여진 구조다. 이런 집은 보통 안채와 행랑채로 구성된 2자 집을 지은 후 나중에 사랑채를 추가하여 ㄷ자 모양을 이루게 된다. 대표적인 예로 경기도 양평군 강하면에 있는 김연재씨 집을 들 수 있다.
이 집의 안채는 남쪽에서 서쪽으로 약간 기울어지게 앉아 있는 미좌(坐) 축향(丑向) 방향으로, 맞걸이 3량 구조의 배집 형식이다. 안방과 웃방은 토담으로 벽을 쌓았고, 부엌은 뼈대식 구조로 되어 있어 독특하다. 평면에서는 부엌이 오른쪽에 배치되고, 가운데는 한 칸 크기의 안방, 왼쪽에는 웃방이 놓인다. 안방과 웃방 앞에는 기단석으로 만든 토방이 있다. 부엌은 바른 네모꼴로 약간 확장되어 있으며, 부엌 내부 안방 쪽에 부뚜막이 설치되어 있다. 부엌의 마당 쪽은 벽면이 개방되어 있고, 뒤쪽으로 출입할 수 있는 개구부가 나 있다. 부엌의 동쪽과 뒤쪽 벽은 토담을 도리 밑까지 쌓지 않고, 상부는 터둔 채 이엉을 달아 비바람을 막고 있다.
행랑채는 안채의 서쪽 모서리에서 마당을 향해 세로로 배치된다. 행랑채의 남쪽 한 칸은 부엌이고, 북쪽 2칸은 아랫방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집에서는 젊은 부모가 행랑채에서 거주하고, 안채에는 어린이들이 기거하는 구조이다. 부모는 행랑채의 방이 더 크기 때문에 그곳에서 거주한다고 설명한다.
헛간채는 안채의 맞은편에 위치하며, 마당을 사이에 두고 나란히 배치된다. 헛간채는 약간 비뚤어진 네모꼴이며, 외양간은 동쪽 대문 쪽에 위치하고, 서쪽에는 헛간이 배열된다. 구조는 맞걸이 3량 배집이며, 전면 중앙 기둥은 백이기둥이다. 외양간은 뒤쪽과 동쪽에 돌벽을 쌓고 구유는 앞쪽에 놓인다. 외양간과 헛간 사이에는 개방된 공간이 있으며, 나무를 걸쳐 대고 있다. 헛간의 서쪽 벽은 돌로 쌓았고, 뒤쪽은 이엉으로 둘러졌다.
이 집의 배치는 마당을 중심으로 북쪽에 안채, 남쪽에 헛간채, 서쪽에 행랑채, 동쪽 귀퉁이에 펌프 우물이 있다. 대문은 안채의 부엌 북서쪽에 위치해 있으며, 문은 시설하지 않았다. 변소는 우물과 동쪽 담장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출입구는 앞마당 쪽으로 나 있다. 변소가 부엌과 우물 근처에 있다는 점은 흔치 않은 배치이다. 외양간 옆에는 작은 닭장이 있다.
이 집은 태백산맥 서쪽 내륙지방에 가끔 분포하며, 아주 가난한 소농이 살던 집으로 추정된다. 집의 안채는 매우 오래 전에 지어졌으며, 집주인은 그 집이 언제 지어졌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고 말했다.
ㄴ. 곱은자외채형
곱은자집은 평면이 ㄱ자 모양으로 꼬부라진 집을 의미한다. 곱은자집의 평면 구성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 3칸 일자집의 머리 부분인 웃방 앞에 ㄱ자 모양으로 대청을 설치하고 그 옆에 건너방을 배치하는 가운데대청집이고, 둘째, 3칸 일자집의 아랫부분인 부엌 앞에 ㄱ자 모양으로 부엌을 내달고 그 옆에 건너방을 배치하는 가운데부엌집이다. 일반적으로 곱은자집은 5칸으로 구성되지만, 6칸이나 7칸으로 이루어진 집도 있다. 또한 곱은자외채형은 곱은자집 한 채만으로 구성된 집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에서 곱은자집이 가장 많이 분포하는 지역은 태백산맥 서쪽의 중부지방으로, 그 중에서도 6칸 가운데대청집이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예를 들어, 충남 아산군 배방면 공수리에 있는 전인복씨 집을 들 수 있다.
이 집의 평면은 ㄱ자 모양으로, 그 안쪽을 전면으로 삼는다. 평면 구성은 3칸 전퇴 일자집에서 발전된 형태로, 웃방 앞쪽에 대청 1칸을 설치하고 그 오른쪽에 건너방을 배치했다. 대청 앞은 계속 마루로 연결되며, 건너방 앞에는 부뚜막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5칸 곱은자집에서는 이런 형태를 볼 수 있으며, 전씨 집은 6칸으로 부엌을 옆으로 늘려 크게 사용하고 있다. 부엌 일부는 막아 토광의 일부로 사용된다.
부엌은 곱은자집의 맨 좌측 칸에 위치하며, 전퇴를 달아내고 옆으로 한 칸을 확장하여 공간을 크게 사용한다. 확장된 부분의 일부는 커튼으로 막아 토광으로 사용된다. 부엌 오른쪽에는 안방이, 그 오른쪽에는 웃방이 배치된다. 곱은자집에서는 안방과 웃방 사이에 보통 분합문을 설치하지만, 이 집은 칸막이가 없이 통간으로 큰 공간을 사용한다.
대청은 웃방 앞쪽에 ㄱ자 모양으로 시설되며, 그 앞에는 툇마루가 놓인다. 전면퇴는 엄밀히 말해 앞마루에 해당하며, 안방 앞퇴에도 설치되어 ㄱ자형으로 만들어진다. 대청 옆에 설치된 건넌방의 전퇴에는 부뚜막이 설치되며, 대청 반대쪽 측벽은 막혀 있고, 전면과 대청 쪽 측면은 개방되어 있다.
이 집은 담장이 좌측면에만 만들어진 집으로, 펌프는 앞마당 한쪽에 설치되어 있고, 장독대는 우측 뒤쪽에 있으며, 변소는 전면 좌측 구석에 설치되어 있다. 기타 부속 시설물은 없다. 곱은자집은 차령산맥 이북에서 주로 분포하며, 단독으로 설치되는 외채형도 상당수 존재한다.
ㄷ. 곱은자ㄷ자형
곱은자ㄷ자형은 곱은자집 안채와 일자집 행랑채로 구성된 것으로서 그 모양이 자를 이루고 있다.
1. 중앙구들집
중앙구들집은 안채인 곱은자집이 꺾이는 곳에 안방이 위치한 집을 말한다. 예를 들어, 강원도 원성군 지정면 안창리에 있는 김홍기씨 집은 이 구조를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 집의 안채는 5칸 곱은자 형태로, 1고주 5량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사랑채는 3칸 맞걸이 3량집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붕은 모두 우진각지붕이다.
안채의 평면은 ㄱ자 모양으로 구성되며, 그 안쪽 부분이 마당 쪽으로 향하고 있다. 안방은 대문간의 방향과 직각을 이루며, 평면의 간살이는 5칸 곱은자집으로 되어 있다. 왼쪽에는 칸반 크기의 부엌이 배치되어 있고, 그 위에는 2칸 크기의 안방과 앞툇마루가 설치된다. 안방 위에는 한 칸 크기의 옷방이 위치하고, 옷방에서 ㄱ자 형태로 꺾여 건넌방이 설치된다. 건넌방 오른쪽 벽에는 부뚜막이 설치되어 있다.
부엌은 전퇴를 튼 칸반 크기로, 왼쪽 벽을 더 내쌓아서 공간을 넓혔다. 부뚜막은 안방 쪽에 설치되며, 안방 쪽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부엌 바닥은 봉당뜰에서 한 단 낮아지며, 부뚜막 앞은 또 한 단 더 낮아진다. 부엌 뒷문 바깥 왼쪽에는 부억솥한데솥이 설치되어 있고, 오른쪽에는 찬장이 놓여 있다. 부뚜막 상부에는 벽장이 설치되어 있어 안방에서 사용할 수 있다. 안방 앞에 있는 쪽마루는 건넌방 앞의 쪽마루와 연결되어 있다.
건넌방 앞에는 건넌방에 불을 넣는 부뚜막이 설치되고, 솥이 걸려 있으며, 비가 들이치지 않도록 최근에 흙벽돌 담장이 둘러쳐져 부엌을 보호하고 있다. 이 평면 형태는 4칸퇴집에서 건넌방이 앞으로 커진 형태와 동일하다.
사랑채는 맞걸이 3량 3칸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면은 대문간, 아랫방, 광이 배치되어 있다. 대문간은 마당 쪽으로 개방되고, 맞은편에는 대문이 설치된다. 아랫방 앞에는 부뚜막이 설치되어 있으며, 비를 막기 위해 까작을 둘러쳐 놓았다. 광 뒤쪽에는 두 칸 크기의 뒷간이 배치되어 있는데, 앞쪽은 변소로, 뒤쪽은 잿간으로 사용된다. 이 지역에서는 뒷간이 부엌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데, 이는 잿간과 부엌 간의 동선을 짧게 하기 위함이다.
마당 앞쪽에는 펌프가 설치되어 있고, 주변에는 네모꼴의 양회로 샘터가 축조되어 있다. 마당 구석 건넌방 쪽에는 화단이 만들어져 있으며, 대문간 쪽과 부엌 앞에는 벌통이 놓여 있다.
2. 5칸중앙대청집
이 집은 곱은자형 안채와 일자형 사랑채가 합쳐져 ㄷ자채형을 이루고 있다. 예시로 충남 논산군에 있는 강유순씨 집을 살펴본다.
안채의 평면은 ㄱ자 모양으로, 그 안쪽 부분이 전면을 구성한다. 이 평면은 전형적인 5칸곱은자 형태를 따른다. 그러나 특징적인 점은 안방 쪽에 전퇴 대신 후퇴가 설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강유순씨 집은 차령산맥 이북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부엌은 곱은자집의 맨 좌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여기에 후퇴를 추가해 공간을 넓혔다. 5칸집이므로 토광은 설치되지 않았다.
안방과 웃방은 외채형 집과 유사한 구조로, 안방과 방 사이에는 떼어낼 수 있는 미서기문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안방 앞에 미서기문이 달려 있으며, 건넌방 앞에는 대청 앞 툇마루와 연결된 앞마루가 설치된다. 앞마루는 들마루 형태로, 그 밑에는 부뚜막이 만들어져 있다.
사랑채는 안채의 우측에 위치하며, 안방의 방향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 집은 긴 네모꼴 모양으로, 긴 변이 마당 쪽을 향하고 있다. 평면은 전면을 3등분하여 왼쪽부터 변소간, 정지, 사랑방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는 퇴가 없는 맞걸이 3칸집으로, 부엌은 사랑방 오른쪽에 설치되어 헛간 겸용으로 사용된다. 집의 맨 왼쪽에 위치한 변소간은 잿간과 겸용되며, 변소간과 부엌의 전면에는 각각 반씩 겹쳐서 닭장이 만들어져 있다.
사랑방 옆에는 사립문이 설치되어 있고, 앞마당은 통로를 제외하고 배추밭으로 사용되고 있어 작업공간으로 활용되지 않는다. 안채의 부엌 앞에 있는 작은 사립문을 지나면 샘이 있다. 장독은 안채의 부엌 앞마당과 뒤안에 여러 개 배치되어 있다. 기타 부속시설은 별도로 없다.
이 형태의 집은 차령산맥 이북에 주로 분포하지만, 그 이남에서도 종종 볼 수 있다.
ㄹ. 양통형
양통형 집은 중세 농민의 살림 규모가 커짐에 따라 외통집의 살림방이 늘어난 형태로, 한용마루 아래에 더 많은 살림방을 들이기 위해 방을 두 줄로 배치한 집이다. 이 형태를 양통집이라고 한다. 예시로 8칸 일자 양통집을 살펴보면, 이 집은 6칸 양통집에 살림방 2칸이 추가된 형태로, 이 지역에서는 이를 4칸집이라고 부른다. 평면의 기본형은 6칸 양통집과 동일하나, 중앙에 있는 안방과 마루가 각각 한 칸씩 늘어났다.
이 집의 예로 강원도 횡성군 우천면 정암리 김동선씨 집을 살펴본다. 마당 건너편에는 일자형 행랑채가 이자(二)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 모퉁이에는 부속건물들이 위치한다. 안채는 3평주5량 덧서까래집, 행랑채는 맞걸이 3량 배집이다. (배집은 홑서까래로 집 안에서 서까래가 보이는 연등천정 형태를 의미). 지붕은 모두 슬레이트로 덮여 있으며, 안채는 합각지붕, 행랑채는 모임지붕이다.
안채의 평면은 긴 네모꼴로, 긴 변이 마당 쪽을 향하고 있다. 평면의 간살이는 왼쪽에는 전후 두 칸 크기의 부엌이 설치되고, 중앙에는 좌우 2칸 크기의 안방, 그 앞에는 좌우 두 칸 크기의 안사랑이 있다. 부엌 왼쪽에는 벽장이 덧달려 나무를 저장하고, 앞쪽에는 찬장이 설치되어 있다. 안방 측면의 뒤쪽에는 부뚜막이 설치되고, 앞쪽에는 토방이 마련되어 양념단지를 올려 놓을 수 있다. 마루 양쪽에는 옷장이 각각 1개씩 놓여 있다. 안사랑 앞에는 사랑방에 불을 넣는 아궁이가 설치되어 있다.
행랑채는 마당을 사이에 두고 안채의 맞은편에 배치되며, 긴 네모꼴의 긴 변이 마당 쪽을 향하고 있다. 사랑방은 바깥사랑이라고도 불리는 바른 네모꼴의 방으로, 마당 쪽에 부뚜막이 설치되어 있고, 부뚜막 위에는 벽장이 만들어졌다. 대문간은 마당 쪽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바깥쪽에는 대문이 설치되어 있다.
마당 왼쪽 모퉁이에는 헛간채가 세로로 배치되고, 마당 오른쪽 귀퉁이에는 닭장이 설치되어 있다. 닭장 앞에는 정미소에 들어갈 수 있는 완충공간이 만들어져 사방이 개방되어 있다. 안채 뒤에는 북쪽 헛간채 끝에서 남쪽 닭장까지 돌담으로 둘러쳐진 뒤안이 마련되어 있다. 부엌 뒤의 펌프는 시멘트로 발라져 샘터가 만들어졌으며, 하수구도 설치되어 있다. 사랑채 바깥에는 잿간을 겸한 변소가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집은 6.25 이후에 3칸 겹집의 비좁은 점을 보완하기 위해 지어졌으며, 중부 내륙지방에서 가끔, 최근에는 그 변형이 자주 지어지고 있다.
'한국 민속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민속 환경 : 잠자리와 머리 두는 방향 (0) | 2025.04.02 |
---|---|
중세 한국의 가옥(대농 형식) (0) | 2025.03.30 |
중세 한국의 가옥(소농 형식) (0) | 2025.03.27 |
한국 전통 6칸정형식 가옥 (제주형) (0) | 2025.03.26 |
한국 전통 6칸정형식 가옥 (영동형, 안동형) (0)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