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2

한국 전통 막살이양식 가옥

막살이형식의 집은 자립할 수 있는 경제적 능력이 없어 다른 집에 딸려서 생활하되, 기거만 따로 하는 일종의 대가집 부속건물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고대의 노비들이 살던 집이 이에 해당한다. 막살이형식의 집은 크게 외통형, 도장형, 겹집형으로 나뉜다. ㄱ. 외통형 외통형 집은 가장 규모가 작은 형태의 주택으로, 산간벽지에서 드물게 발견되는 2칸집에서부터 시작된다. 일반적으로 살림방과 부엌, 앞퇴에 설치된 토방이 나란히 배열된 단순한 구조를 가진다. 이는 막살이형식의 전형적인 예로, 전국에 걸쳐 드물게 분포한다. 대표적인 예는 ‘맞걸이 3칸집’이다. 이 집은 맞걸이 3량의 구조로, 전면에 앞퇴 없이 평면이 구성된 형태를 보인다. 안채만 있고 사랑채는 없으며, 외양간·뒷간·잿간 등의 최소..

한국 전통 가옥의 분류 방법

1. 새로운 분류 방법의 시도 민가의 집 구조를 분류하는 방법은 여러 일본 학자들에 의해 시도되고 정리되었지만, 이들의 이론은 많지 않은 자료를 바탕으로 직관적으로 정리된 느낌이 없지 않다. 그들이 사용한 방법은 겨우 몇십 채의 민가를 분류하는 데에는 큰 문제가 없었지만, 수백 채를 분류하려 하면 금세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 예전 방법들은 대부분 어떤 지역에서는 비슷한 형태의 집들이 모여 있다는 ‘지역의 특성’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하지만 실제로 한 마을의 모든 민가를 조사해 보면, 서로 다른 집 구조가 여러 가지 있다는 사실 때문에 이런 방법으로는 설명이 잘 되지 않는다. 이런 문제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먼저 한 마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찾아보고, 그 위에 다른 지역에서 나타나는 구조를 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