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각게수리 각게수리는 여닫이문 안에 여러 개의 서랍이 설치된 일종의 금고로서, 귀중한 물건이나 문서를 보관하는 데 사용하였으며 약장으로도 쓰였다. 『조선왕조실록』 숙종 37년(1711) 8월 5일 기록에 따르면, 조이중이 통제사로 있을 당시 각기소리 8개를 만들어 그 안에 귀한 물건을 넣어 신에게 보낸 일이 문제가 되었던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은 숙종 시대에 이미 각기소리를 사용했음을 보여준다. 각게수리는 『증보산림경제』의 살림살이 관련 기록인 ‘가정편’에서는 일본의 ‘왜궤’를 ‘갓게슈리’로, 같은 책의 ‘잡방’에서는 역시 왜궤를 ‘갸계소리’로 표기하고 있다. 헌종 때 기록된 『재물보』에서는 중국의 소형장을 ‘각비슈리’라고 하였고, 영조 51년(1775)에 간행된 『역어유해보』에서는 천안주..